카테고리 없음

피난유도등 설치 안 하면 벌금? 혼동하기 쉬운 설치기준 7가지 총정리

피난구유도등 2025. 4. 24. 16:33

🔦 피난설비 유도등 설치 기준 및 종류 – 소방점검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할 필수 가이드


피난유도등은 평소에는 잘 안 보이지만, 화재 발생 시 사람의 생명을 지켜주는 유일한 안내자입니다.

이번 글에선 실제 설치 현장에서 자주 혼동되는 피난설비 유도등의 설치 기준과 종류를 한눈에 정리해 드립니다.

피난구·계단·거실·복도·객석 유도등부터 유도표지·피난유도선·음성점멸유도등까지—종류별 위치와 기준을 정확하게 안내합니다.


🛠️ 피난설비 유도등 설치 기준 및 종류 – 소홀히 하면 사고도 책임도 커진다


유도등이란?

정전 시 자동으로 비상전원으로 전환되어 점등되며, 화재나 재난 상황에서 피난 경로를 알려주는 조명 장치입니다.
법적으로는 [화재안전기준 NFSC 303]에 근거해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습니다.


피난구유도등 – 출입구 표시용

설치 위치

  • 옥내에서 직접 지상으로 통하는 출입구
  • 직통계단 및 부속실 출입구
  • 복도에서 피난구로 이어지는 출입구
  • 안전구획된 거실의 출입구

▶ 설치 기준: 바닥에서 1.5m 이상 높이에, 출입구 인접 위치에 설치


통로유도등 – 피난 통로 안내용

 

복도통로유도등

  • 복도에 설치, 20m마다 / 구부러진 모서리마다 설치
  • 바닥 1m 이하 높이에 부착,
    단, 지하상가·지하철은 바닥 중앙에 설치
  • 하중에 버티는 강도 확보 필수

거실통로유도등

  • 거주·업무·주차장 등 연속 사용하는 공간의 통로에 설치
  • 20m마다, 벽체 구획 시 복도통로유도등으로 대체
  • 바닥에서 1.5m 이상, 기둥에는 1.5m 이하도 가능

계단통로유도등

  • 계단참마다 1개씩, 경사로 참은 2개 중 1곳마다 설치
  • 바닥 1m 이하 높이에 설치, 디딤판을 직접 비춰야 함

객석유도등 – 다중이용시설 전용

 

  • 객석 통로나 바닥·벽에 설치
  • 경사로·수평로 기준에 따라 정해진 개수 이상 설치
  • 옥외와 유사한 구조일 경우 전체 통로에 설치

유도표지 – 시선 유도형 안내판

피난구유도표지

  • 출입구 상단에 설치

통로유도표지

  • 각층 복도 및 통로, 15m 이내 간격, 구부러진 모서리 벽에도 설치
  • 바닥 1m 이하 높이에 부착

피난유도선 – 바닥선 기반 유도

축광방식

  • 빛을 받아 축적 후 정전 시 자체 발광
  • 50cm 간격 이하, 바닥 50cm 이하에 부착
  • 주조명 또는 비상조명으로 빛 공급 필요

광원점등방식

  • 전기 공급 시 점등, 수신기 연동 및 수동 조작 가능
  • 1m 이하 높이 또는 바닥 매립형, 비상 전원 상시 충전 유지 필수
  • 피난유도 제어부는 0.8~1.5m 높이에 설치


특수 유도등 – 장애인 대응 및 특수환경 대응

방폭형유도등

  • 폭발 우려 지역에 사용, 충격·압력에 강한 내구성 확보

음성점멸유도등

  • 시각·청각 장애인을 위한 복합 유도등
  • 화재 발생 시 점멸과 동시에 음성 안내 출력

※ [장애인등편의법 시행규칙]에 따라 비상벨 근처 점멸등 설치 필수
시각장애인은 점멸·소리, 청각장애인은 점멸 표시로 대피 안내받아야 함


🧩 결론 – 유도등은 장식이 아니라 생명선이다

유도등은 ‘있기만 하면 된다’는 장비가 아닙니다.

 


위치가 틀리면 효과 없음
종류가 바뀌면 기준 위반
누락되면 법적 책임과 처벌까지 이어짐

생명을 지키는 건 '빛'이 아니라, 그 빛이 정확히 어디에 있느냐입니다.
설계 단계부터, 시공, 점검까지 기준을 정확히 이해하고 설치하는 것이 필수입니다.


❓ 피난설비 유도등 FAQ

Q1. 유도등 설치 기준은 어디서 확인할 수 있나요?

A. [화재안전기준 NFSC 303] 또는 관할 소방서 및 소방시설설치법령에서 확인 가능합니다.

Q2. 유도등이 작동하지 않으면 처벌 대상인가요?

A. 예. 소방점검에서 미작동/불량/위치오류 적발 시 과태료 및 시정명령이 내려집니다.

Q3. 피난유도선은 설치 필수인가요?

A. 구조나 용도에 따라 의무 설치 대상이 달라지며, 대부분의 지하·무창층·대형건축물에는 필수입니다.

Q4. 음성 유도등은 모든 곳에 설치하나요?

A. 아니요. 장애인 편의시설, 공공건축물, 대규모 다중시설 등 특정 조건에서 의무화됩니다.

Q5. 설치 시 가장 많이 실수하는 항목은?

A. 높이·거리 기준 무시, 통로유도등/거실유도등 구분 오류, 피난구 쪽이 아닌 출입문 쪽 설치 등이 대표적입니다.

 

지게차 안전 글 보기

https://bizfore0713.tistory.com/4

 

지게차 작업 중 사망 사고, 어떻게 예방할 수 있을까? 필수 안전 수칙 정리

지게차 안전수칙 총정리! 치명적인 사고를 막는 필수 가이드지게차는 물류, 건설, 제조업 등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운반 장비다. 하지만 잘못된 조작이나 부주의한 작업 방

bizfore0713.tistory.com